운영체제 이야기/Linux(CentOS)

[CentOS7] centos7 free 명령어로 메모리 확인

한희성 2023. 7. 17. 20:05
반응형

회사 개발서버의 상태가 가끔씩 메롱하여 원인을 찾아보기로 하였다. 신규 장비로 마이그레이션 이슈로 인하여 계획을 수립하기위해 우선 사용가능한 자원이 얼마나 되나 확인하였다.

 

free 명령어는 /proc/meminfo의 정보를 가져와서 보여준다. 아래는 free 명령어의 값들의 대한 설명이다.

free -h

[설명]

total : 설치된 용량의 총 크기

used : total - free - buff/cache 를 뺀 나머지 크기이다.

free : 실제 사용 가능한 메모리

shared : 메모리 파일 시스템 등 여러 프로세스에서 공통으로 사용가능한 공유 메모리이다.

buff/cache : 커널 버퍼로 사용 및 페이지 캐시에 사용중인 크기

available : 스왑없이 새로운 프로세스에 할당 가능한 메모리의 예상 크기이다.

 

[옵션]

-h :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출력
-b | -k | -m | -g : 바이트, 키비바이트, 메비바이트, 기비바이트 단위로 출력
--tebi | --pebi : 테비바이트, 페비바이트 단위로 출력
--kilo | --mega | --giga | --tera | --peta : 킬로바이트, 메가바이트, 기기바이트, 페타바이트 단위로 출력
-w : 와이드 모드로 cache와 buffers를 따로 출력
-c '반복' : 지정한 반복 횟수 만큼 free를 연속해서 실행
-s '초' : 지정한 초 만큼 딜레이를 두고 지속적으로 실행
-t : 합계가 계산된 total 컬럼줄을 추가로 출력

반응형